요약(20240105)
한줄평
쾌락과 고통은 쌍둥이 이며 저울이다.
읽기전 생각
디지털 기기 중독, 니코틴 중독 알콜중독 등 현재상황 중독의 위험이 많다고 생각이된다. 충동적인 행동에 대해 중독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중독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전략을 찾고자 함
읽은 후 생각
쾌락과 고통이 뇌의 한 부분에서 이루어 진다는 사실과 저울이라는 구조에서 풍요의 시대 나는 어떤 전략을 취할지 선택하게 된다 ( 호르메시스_선고통후쾌락)
줄거리
1. 끊임 없는 쾌락 추구 ( 그리고 고통회피) 는 고통을 낳는다.
2. 회복은 절제로부터 시작된다.
3. 절제는 뇌의 보상 경로를 다시 제자리에 맞추고 , 이를 통해 더 단순한 쾌락에도 기뻐할 수 있도록 한다.
4. 자기 구속은 요구와 소비사이에 말 그대로 초인지적 공간을 만드는데, 이 공간은 도파민으로 과부하를 이룬 지금 세상에 꼭 필요한 것이다.
5. 약물 치료는 항상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하지만 약물 치료로 고통을 해소함으로써 잃는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라.
6. 고통 쪽을 자극하면 우리의 평형 상태는 쾌락 쪽으로 다시 맞춰진다.
7. 그러나 고통에 중독되지 않도록 주의하라.
8. 근본적 솔직함은 의식을 고취하고, 친밀감을 높이며, 마음가임을 여유있게 만든다.
9. 친사회적 수치심은 우리가 인간의 무리에 속해 있음을 확인시킨다.
10. 우리는 세상으로부터 도망치는 대신 세상에 몰입함으로써 탈출구를 찾을 수 있다